대한민국의 역사와 함께한 고등고시는 1948년 8월 17일에 제정된 '고등고시령'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험은 행정, 사법, 외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1963년에는 행정고시와 외무고시가 통합되어 '행정고등고시'로 개편되었고, 1967년에는 기술직 공무원을 선발하는 '기술고등고시'가 신설되었습니다.
행정고등고시는 행정직군의 공무원을 선발하는 시험으로, 1차 시험과 2차 시험,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헌법, 행정법, 경제학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으로, 행정학, 정책학, 정치학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공직자로서의 자세와 역량을 평가했습니다.
기술고등고시는 기술직군의 공무원을 선발하는 시험으로, 1차 시험과 2차 시험,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물리학, 화학, 기계공학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으로, 전기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공직자로서의 자세와 역량을 평가했습니다.
외무고등고시는 외교관을 선발하는 시험으로, 1차 시험과 2차 시험,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영어, 제2외국어, 국제정치학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으로, 국제법, 국제경제학, 외교사 등의 과목을 출제했습니다. 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외교관으로서의 자세와 역량을 평가했습니다.
2017년을 마지막으로 기존의 고등고시는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대체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은 행정직군과 기술직군으로 구분되며, 1차 시험과 2차 시험,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차 시험은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헌법,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등의 과목을 출제합니다. 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시험으로,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정보체계론, 자료조직론 등의 과목을 출제합니다. 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공직가치관, 직무능력, 인성 등을 평가합니다.
대한민국의 역사와 함께한 고등고시는 많은 인재를 배출하며, 대한민국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현재는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대체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를 선발하고 있습니다.
댓글